
▲ 강정보 공사 현장 하류 금호강 합류점. 엄청난 오탁수가 흘러내리고 있다. 오른쪽이 금호강이고 탁수가 발생하고 있는 강줄기가 낙동강 본류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강정보 공사현장. 주변 습지가 모두 사라져 처참한 모습이다. 준설로 인해 심각한 탁수가 발생하고 있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내륙 최대의 희귀 철새도래지 중 하나인 해평습지 공사 전경. 환경부는 해평습지의 하중도(모래섬)는 보전할 것이라 했으나 공사가 진행되면서 두동강이 나버렸다.
하중도는 강 생태계에서 야생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한 가치가 있으나 대부분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해평습지 준설현장. 재두루미, 흑두루미의 휴식지로 이용되는 넓은 모래밭이 모두 사라져버렸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달성보 공사현장. 오탁방지막이 드문드문 끊겨 제멋대로 강물과 함께 흐르고 있다. 주변 습지를 침사지로 이용하고 있는 모습도 보인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일선교 하류 준설현장. 포크레인을 대거 투입하여 모래를 파내고 있는데 이는 환경영향평가 위반이다.
게다가 오탁방지막도 설치하지 않아 탁수가 그대로 본류로 흘러들고 있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상주 경천대 상류 준설현장. 오탁방지막도 없이 둔치에 준설토를 적치하고 있다.
4대강사업으로 낙동강 최대의 비경 중 하나인 경천대의 모습도 많이 달라질 것이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상주 매호리 상풍교 상류지역 준설현장. 오탁방지막도 없이 탁수가 그대로 강물을 따라 흘러내리는 모습이 선명하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
▲ 구미보 공사현장 하류 감천 합류점. 하늘을 그대로 비추고 있는 오른쪽 감천의 강물 색과 탁해진 낙동강 본류의 강물 색이 명확히 비교된다
ⓒ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
'etc.. > 아~ 대한민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잃어버린 20년 (0) | 2010.05.06 |
---|---|
Thinking of 그 분 (0) | 2010.04.30 |
MBC (0) | 2010.04.28 |
김제동, “노제 사회 본 것 때문에 좌파면 난 좌파하겠다” (0) | 2010.04.28 |
상상력 천국! 대한민국~!! (0) | 2010.04.27 |